무던함 테스트
당신은 쉽게 흔들리는 편인가요, 아니면 웬만한 일엔 담담한가요?
이 테스트는 감정의 ‘무던함’, 즉 외부 자극에 얼마나 차분하고 균형 있게 반응하는지를 알아보는 심리검사입니다.
무던하다는 건 단순히 둔하다는 뜻이 아니라, 감정을 흘려보내고 중심을 잃지 않는 힘이에요.
_
테스트의 타당성 (심리학적 근거)
무던함은 심리학적으로 정서적 안정성(Emotional Stability), 회복탄력성(Resilience), 그리고 정서조절 능력(Emotion Regulation) 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Big Five 성격이론에서의 ‘신경성(Neuroticism)’은 감정 기복과 스트레스 민감도를 설명하는 요소입니다. 무던함은 이 신경성이 낮은 상태, 즉 감정이 안정적인 성향에 해당합니다.
James Gross(1998)의 정서조절이론에 따르면, 감정을 억누르기보다 인지적으로 재해석하고 수용하는 것이 심리적 건강에 유익합니다. 이는 무던함의 핵심적 특성과 일치합니다.
불교 심리학의 평정심(Equanimity) 개념도 무던함과 유사합니다. 감정을 배제하지 않되, 집착하지 않고 흘려보내는 태도를 뜻합니다.
따라서 이 테스트는 감정의 반응성, 회복력, 공감성, 수용성을 종합적으로 측정하여 자신이 어떤 방식으로 감정을 다루는지를 스스로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무던함 테스트 질문 (20문항)]
각 문항에 대해 1(전혀 아니다) ~ 5(매우 그렇다)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점수가 높을수록 감정적으로 무던한 성향을 의미합니다.
(R) 표시는 역문항입니다.
① 감정 반응성 (Emotional Reactivity)
1. 누가 내 말투를 지적해도 그냥 “그럴 수도 있지” 싶다.
2. 예상 못 한 일이 생겨도 놀라기보다 일단 수습부터 한다.
3. 기분이 오락가락해서 스스로도 피곤할 때가 있다 (R)
4. 감정이 올라와도 티 안 내고 넘기는 편이다.
5. 누가 나한테 짜증 내면 하루 종일 신경 쓰인다 (R)
② 회복탄력성 (Resilience)
6. 안 좋은 일이 있어도 “뭐 어쩌겠어” 하며 금방 잊는다.
7. 실수해도 금세 웃어넘길 수 있다.
8. 일 한 번 꼬이면 며칠 동안 머릿속에서 반복 재생된다 (R)
9. 화나는 일도 잠깐 지나면 별거 아니게 느껴진다.
10. 사람 일에 상처받으면 꽤 오래 끌고 간다 (R)
③ 공감/정서이입 (Empathic Immersion)
11. 친구가 울면 나도 괜히 눈물이 난다 (R)
12. 남이 기분 나쁘면 나까지 기분이 가라앉는다 (R)
13. 누가 속상해도 ‘그럴 수도 있겠구나’ 하고 조용히 듣는다.
14. 감정적인 사람을 보면 오히려 마음이 차분해진다.
15. 다른 사람 일에 감정이입 잘 안 되는 편이다.
④ 인내·수용 (Acceptance & Patience)
16. 음식이 잘못 나와도 그냥 먹는다.
17. 누가 나한테 예의 없이 굴어도 굳이 따지지 않는다.
18. 사소한 일에도 욱해서 말이 먼저 나온다 (R)
19. 상황이 꼬여도 “시간 지나면 괜찮겠지” 싶다.
20. 세상일엔 웬만해선 흥분하지 않는다.
_
_
읽어주셔셔 감사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