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 발생 시 행동요령

 

산사태란 폭우나 지진, 화산 따위로 산 중턱의 바윗돌이나 흙이 갑자기 무너져 내리는 현상을 말하는데 우리나라같이 산이 많은 지역에서는 특히 조심하고 예방을 해야하는 문제입니다.


_


산사태 원인


산사태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질 조건: 지질 조건은 산사태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풍화된 토양, 절벽, 경사면, 암석의 불안정성, 지하수의 유출 등이 산사태 발생을 촉진하는 요소라고 합니다.

➡️자연 재해: 자연 재해도 산사태를 유발할 수 있는데 강한 비, 폭우, 태풍, 지진 등은 지질 조건을 약화시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고 합니다.

➡️인간: 인간 때문에 인해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산림 파괴, 산악 개발, 과도한 토목 공사, 폐기물 관리 부실 등이 지질 조건을 변화시켜 산사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산사태 발생 시 위험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명 피해: 산사태는 인명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데 큰 규모의 산사태는 집, 건물, 도로 등을 파괴하고 사람들에게 상당한 위험을 안겨줄 수 있습니다.

➡️재산 피해: 산사태로 인해 재산에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데 주택, 건물, 농작물 등이 파괴되거나 토사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환경 파괴: 산사태는 생태계와 환경에도 심각한 파괴를 초래할수도 있는데 토양 침식, 수질 오염, 생물 다양성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_


산사태 발생 시 행동요령


위에서 드린 설명처럼 산사태는 불안정한 지질 조건에 의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인명과 재산에 위험을 초래하며 환경 파괴를 초래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정부와 지역 사회는 산사태 예방 및 관리에 신속하고 효과적인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산사태 발생 시 다음과 같은 행동요령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산사태 발생 시 안전한 대피를 위해 행동요령을 숙지해 주시길 바랍니다.


✅여름철 우기·태풍 전, 산과 가까이 있는 주택(건물) 배수시설 점검하기

*위험 요인 발견 시 거주지 시·군·구청 및 행정복지센터에 신고


✅집중호우·태풍 시, 기상정보 및 대피장소 확인하고 산 주변에서의 야외활동 하지 않기


✅대피명령 발령 시,지정된 대피장소나 산지로부터 떨어진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기


✅산에서는, 산사태 방향과 멀어지는 방향, 가장 안전한 높은 곳으로 대피하기


✅야영 중에는, 계곡은 무리하게 건너지 말고 계곡에서 떨어진 높은 언덕으로 대피하기


✅주택에서 대피하지 못한 경우, 산과 멀리 있는 가장 높은 층 방으로 대피하기


✅운전 중에는, 저속 운행하고 안전거리 확보하기

* 대피 이동 중에는 신호등, 가로등, 고압전선 인근 접근 자제


국민들은 긴급재난문자, 마을방송 등에 귀 기울여 주시고 유사 시 안전한 곳으로 신속하게 대피해주시길 바랍니다.

_


본 내용은 대한민국 정부 홈페이지 출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