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가 생기는 이유 (녹조현상 원인)
TV나 인터넷 뉴스 또는 본인이 사는 집 주변에 하천을 보면 녹조현상이 일어난 경우가 발생합니다.
미관상 별로 보기도 안좋아보이는 이런 녹조는 도대체 왜 생기는건지 오늘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_
녹조가 생기는 이유
녹조란 강이나 호수에 남조류가 과도하게 성장하여 물의 색깔이 짙은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즉 부영양화된 호수 또는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녹조류와 남조류가 크게 늘어나 물빛이 녹색이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녹조현상은 대한민국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고 미국의 이리호, 중국의 태호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 남조류 발생에 의한 녹조현상이 보고 되고 있습니다.
녹조가 생기는 이유는 오염물질의 유입(영양물질, 부영양화), 수온, 일사량 증가, 물 순환 정체 등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일부 남조류는 생명활동에 필요한 물질을 합성하고 분해하는 대사 작용의 결과로 독소와 냄새를 발생시키곤 합니다.
녹조현상으로 냄새물질은 인체에 영향을 주진 않는데 다만 수돗물의 맛을 떨어뜨리고 불쾌감을 유발합니다.
그리고 독성물질을 배출하여 유해한 영향을 주는 유해 남조류는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s), 아나톡신(Anatoxin), 삭시톡신(Saxitoxins)등이 대표적입니다.
_
녹조현상 원인
녹조가 생기는 이유는 알아뵜는데 그 이외 전세계적으로 구체적인 녹조현상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고온과 낮은 염분 농도: 고온과 낮은 염분 농도는 녹조 조류의 번식을 촉진시키는 환경 조건인데 이는 해안 지역이나 열대 지방에서 녹조현상이 더 흔히 발생하는 이유라고 합니다.
2. 과잉 영양분: 녹조 조류는 영양분이 풍부한 환경에서 잘 번식하는데 특히나 질산염과 인산염과 같은 영양분이 과도하게 유입되면 녹조 조류의 번식에 이상적인 조건이 형성되며 이런 영양분의 유입은 농업 폐수, 도시 폐수 및 비료 사용과 같은 인간의 활동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고 밝혀졌습니다.
3. 해양 생태계 변화: 해양 생태계의 변화도 녹조 조류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디 예를 하나 들자면 수상 생물의 개체 수나 종 다양성의 변화, 포식자의 부재, 해양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는 등의 요소가 녹조현상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도 합니다.
4. 기후 변화: 기후 변화는 녹조 조류의 번식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는디 예를 들자면 기후 변화로 인해 수온이 상승하면서 녹조 조류의 번식 기간이 늘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5. 물의 흐름 변화: 녹조 조류는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므로 물의 흐름 변화도 녹조현상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디 예를 들어 강물이나 해류의 방향이 바뀌거나 정체되는 경우에 녹조 조류의 번식이 촉진될 수 있다고 합니다.
위 5가지 이유들은 단독으로 녹조현상을 발생시킬 수도 있지만 종합적인 환경 변화와 상호작용하여 녹조 조류의 번식과 증식을 촉진하는 요소들이며 실제 발생 상황은 이러한 이유들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결정된다고 합니다.
_
녹조 발생 시기
녹조가 주로 발생하는 시기는 수온이 높은 초여름부터 가을까지라고 합니다.
주요 조류별 녹조 발생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진이 잘 안보이시면 클릭 후 확대해서 보시길 바랍니다.
_
마지막으로 녹조현상이 우리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녹조가 발생하면 강의 물 색깔이 변하고 수면에 찌꺼기가 생겨 수영, 낚시, 수상스키 등 수상 여가활동을 즐기지 못하는 상황이 되어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표면을 뒤덮은 조류가 햇빛을 차단하여 깊은 물속에 사는 수생식물은 광합성을 방해받게 되어 물속의 산소 소비량이 많아지게 되는디 따라서 동식물이 산소부족으로 폐사할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 일부 남조류는 독소를 생산하여 건강상 해를 끼칠 우려가 있다며 신체적인 접촉이나 어패류의 섭취를 자제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_
본 내용은 환경부 블로그 홈페이지
출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우리나라 환경부에서는 녹조현상이 발생하면 그에 맞는 지침을 지자체에 전달하거나 지자체 자체에서도 녹조현상 해결을 항상 힘쓴다고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